반응형
기호는 단순한데 그림기호 그대로 만드는 것이 아니더군요.
그림기호는 만드는 사람의 기준이 아니라 편물모양 기준이었습니다.
처음시작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시작해서 지그재그로 올라갑니다.
홀수단은 도안 그대로 만들고 짝수단은 겉뜨기는 안뜨기로 안뜨기는 겉뜨기로 만듭니다.
머리가 핑글핑글하므로 그렇구나 하고 다음을 기약하며 넘어갑니다.
실제로 뜨개질을 하는 방법으로 메리야스뜨기와 가터뜨기를 비교해보겠습니다.
메리야스뜨기는 첫 단을 겉뜨기로 다음 단을 안뜨기로 반복해서 떠 줍니다.
앞쪽에서 편물을 보면 모두 겉뜨기로 이루어져서 이름그대로 니트스티치의 모습입니다.
가터뜨기는 겉뜨기만 반복해서 뜨는 무늬인데 앞쪽에서 보면 마치 라면모양같습니다.
김라희님의 메리야스뜨기 (겉뜨기/안뜨기)
김라희님의 가터뜨기
<메리야스뜨기 중 겉뜨기>
라희님의 자세한 설명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김라희님의 두코고무뜨기 코막기 마무리
영상에서 라희님이 목도리를 만들 때에는 첫코를 뜨지말고 넘겨주라고 하셔서
핀터레스트에서 가장자리를 뜬 경우와 뜨지 않은 경우를 찾아보았습니다.
목도리의 가장자리를 깔끔하게 뜨기위해서는 반드시 단의 첫코를 건너뛰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대바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바늘도안] 대바늘 목도리 / 대바늘 워머 / 대바늘숄 / 남자목도리 / 선물용목도리 (2) | 2017.11.23 |
---|---|
[대바늘도안] 김라희님의 심플 너음목도리 (0) | 2017.11.23 |
[대바늘도안] 쁘띠목도리 / 김c목도리 / 한코고무뜨기 / 코막기 (0) | 2017.11.12 |
[대바늘도안] 삼성모사 마이더스실로 만든 한올스님의 네키목도리 (고양이 목도리) (0) | 2017.11.01 |
[대바늘기초] 대바늘 왕초보의 코잡기 / 안뜨기 / 겉뜨기 / 한코고무뜨기 (2) | 2017.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