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바늘은 초등학생 때 겉뜨기정도만 배워서 목도리를 만들다가 만 기억이 있습니다.
대바늘은 코바늘보다 까다로운 느낌이라서 손이 가지를 않았는데요
겨울에는 역시 코바늘보다는 대바늘이라서 기초부터 시작합니다.
코바늘은 처음에 배워야할 기초기법이 많아서 허들이 높은 것 같지만 일단 그 벽만 넘으면 응용도 쉽고 화려해서 재미있거든요.
근데 대바늘은 단순한 기초기법인데도 숙달되기까지의 여정이 참 긴 것 같습니다.
힘조절도 까다롭고 지루하면서도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대바늘은 깔끔하고 정갈한 무늬가 매력인데 왕초보인 저에게는 너무 먼 이야기 같습니다.
손은 따라가지 못하면서 눈만 높아서 몇번이고 다시 풀게됩니다.
<대바늘 코잡기>
첫 코 잡는 법은 코바늘의 첫 코와 동일하게 잡아줍니다.
다음 코부터는 라희님의 영상을 보고 따라했습니다.
너무 빡빡하게 잡지 않으면서 동일하게 힘을 주는 것이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역시나 힘조절이 관건입니다.
일단은 힘조절은 뒷전으로 미뤄두고 코가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해서 연습하고 있는데
언젠가 숙달되는 날이 오겠지요.
실을 하도 여러번 풀어서 너덜너덜해지고 있습니다.
김라희님의 대바늘기초 - 일반코 잡는 법
<안뜨기>
<겉뜨기>
겉뜨기를 knit stitch,
안뜨기를 prul stitch라고 하더군요.
기초기법을 배우면서 영문 기호를 같이 익히면 나중에 영문 도안을 보는데에 수월해집니다.
바늘을 기준으로 내 몸쪽으로 바늘이 향하면 안뜨기, 바깥쪽이면 겉뜨기입니다.
실을 감는 방향은 시계반대방향입니다.
처음에는 많이 헷갈리는데 손에 익으면 무의식적으로 손이 움직입니다.
하나 더 주의해야 할 부분은 감는 실의 위치인데요,
겉뜨기는 실이 뒤에 있어야 하고, 안뜨기는 실이 앞에 있어야 합니다.
제가 설명하고도 뭔소린가 싶으므로, 대바늘은 영상으로 익히는 것을 추천합니다.
김라희님의 대바늘기초 - 한코 고무뜨기 (겉뜨기/안뜨기)
라희님의 영상은 초보자가 어떤부분이 어려운지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므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기초기법은 겉뜨기와 안뜨기 뿐이지만 반복하는 패턴을 달리해서 다양한 무늬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한코 고무뜨기>
라희님의 영상에 나온 한코 고무뜨기의 영문도안입니다.
한코 고무뜨기는 겉뜨기와 안뜨기가 번갈아서 반복되므로 초보자가 쉽게 도전할 수 있습니다.
두코 고무뜨기는 겉뜨기와 안뜨기를 두번씩 반복하면 됩니다.
겉뜨기로 시작해서 안뜨기로 끝났다면, 편물을 뒤집어서 겉뜨기로 시작합니다.
편물을 뒤집었을 때에 코에 가로줄이 있으면 안뜨기 없으면 겉뜨기를 해 주면 더 알기 쉽습니다.
대바늘은 코바늘보다 까다로운 느낌이라서 손이 가지를 않았는데요
겨울에는 역시 코바늘보다는 대바늘이라서 기초부터 시작합니다.
코바늘은 처음에 배워야할 기초기법이 많아서 허들이 높은 것 같지만 일단 그 벽만 넘으면 응용도 쉽고 화려해서 재미있거든요.
근데 대바늘은 단순한 기초기법인데도 숙달되기까지의 여정이 참 긴 것 같습니다.
힘조절도 까다롭고 지루하면서도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대바늘은 깔끔하고 정갈한 무늬가 매력인데 왕초보인 저에게는 너무 먼 이야기 같습니다.
손은 따라가지 못하면서 눈만 높아서 몇번이고 다시 풀게됩니다.
<대바늘 코잡기>
첫 코 잡는 법은 코바늘의 첫 코와 동일하게 잡아줍니다.
다음 코부터는 라희님의 영상을 보고 따라했습니다.
너무 빡빡하게 잡지 않으면서 동일하게 힘을 주는 것이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역시나 힘조절이 관건입니다.
일단은 힘조절은 뒷전으로 미뤄두고 코가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해서 연습하고 있는데
언젠가 숙달되는 날이 오겠지요.
실을 하도 여러번 풀어서 너덜너덜해지고 있습니다.
김라희님의 대바늘기초 - 일반코 잡는 법
<안뜨기>
<겉뜨기>
겉뜨기를 knit stitch,
안뜨기를 prul stitch라고 하더군요.
기초기법을 배우면서 영문 기호를 같이 익히면 나중에 영문 도안을 보는데에 수월해집니다.
바늘을 기준으로 내 몸쪽으로 바늘이 향하면 안뜨기, 바깥쪽이면 겉뜨기입니다.
실을 감는 방향은 시계반대방향입니다.
처음에는 많이 헷갈리는데 손에 익으면 무의식적으로 손이 움직입니다.
하나 더 주의해야 할 부분은 감는 실의 위치인데요,
겉뜨기는 실이 뒤에 있어야 하고, 안뜨기는 실이 앞에 있어야 합니다.
제가 설명하고도 뭔소린가 싶으므로, 대바늘은 영상으로 익히는 것을 추천합니다.
김라희님의 대바늘기초 - 한코 고무뜨기 (겉뜨기/안뜨기)
라희님의 영상은 초보자가 어떤부분이 어려운지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므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기초기법은 겉뜨기와 안뜨기 뿐이지만 반복하는 패턴을 달리해서 다양한 무늬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한코 고무뜨기>
라희님의 영상에 나온 한코 고무뜨기의 영문도안입니다.
한코 고무뜨기는 겉뜨기와 안뜨기가 번갈아서 반복되므로 초보자가 쉽게 도전할 수 있습니다.
두코 고무뜨기는 겉뜨기와 안뜨기를 두번씩 반복하면 됩니다.
겉뜨기로 시작해서 안뜨기로 끝났다면, 편물을 뒤집어서 겉뜨기로 시작합니다.
편물을 뒤집었을 때에 코에 가로줄이 있으면 안뜨기 없으면 겉뜨기를 해 주면 더 알기 쉽습니다.
반응형
'대바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바늘도안] 대바늘 목도리 / 대바늘 워머 / 대바늘숄 / 남자목도리 / 선물용목도리 (2) | 2017.11.23 |
---|---|
[대바늘도안] 김라희님의 심플 너음목도리 (0) | 2017.11.23 |
[대바늘도안] 쁘띠목도리 / 김c목도리 / 한코고무뜨기 / 코막기 (0) | 2017.11.12 |
[대바늘도안] 삼성모사 마이더스실로 만든 한올스님의 네키목도리 (고양이 목도리) (0) | 2017.11.01 |
[대바늘기초] 대바늘 왕초보의 대바늘 도안보는 법 / 가터뜨기 / 메리야스뜨기 / 코막기 / 마무리 (0) | 2017.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