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용어] 긱경제 / 일국양제 / 정의의 행진 / 페티야
·
study/시사상식
긱 경제 (Gig Economy)산업 현장에서 필요 인력과 임시로 계약을 맺고 일을 맡기는 형태를 뜻한다. 1920년대 미국 재즈 공연장 주변에서 연주자를 그때그때 섭외해 단가공연 계약을 맺어 공연했던 '긱(Gig)'에어 차용했다. 긱 경제는 수요자가 요구하는 대로 서비스 물품 등을 온라인이나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경제시스템인 온디맨드 경제와 연관된다. 온디맨드 경제가 확산되며 서비스를 제공할 노동력이 필요해져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리라는 기대가 있으나 그 일자리들이 비정규직 시간제, 실업률 감소 등 긍정적 영향을 미칠지, 일자리 질 하락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칠지 논란이 있다. 일국양제한 국가에 두 체제를 허용한다는 뜻으로, 중국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공존시키는 방식이다. 중국의 홍콩 · 마카..
[시사경제용어] 뷰티호핑족 / 1코노미 / 포이즌필 / ESG
·
study/시사상식
뷰티 호핑족다양한 제품을 사용해보기 위해 단일 브랜드나 제품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보다는 빠르게 브랜드나 제품을 바꾸며, 적은 용량으로 다양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말한다. 바쁜 일상을 사는 현대인들이 휴대가 편리하고 가성비 높은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에서 비롯됐다. 다양한 컬러나 제형의 화장품을 키트 형식으로 제작해 저렴한 가격으로 내놓는 상품 등이 뷰티 호핑족이 구매하는 대표적 상품이다. 1코노미 (1conomy)1인 경제. 혼자만의 생활을 즐기며 소비하는 경제활동을 뜻한다. 숫자 1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김난도 교수가 저서 「트렌드 코리아 2017」에서 처음 사용했다. 혼밥, 혼술 등 혼자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며 등장한 용어로 미코노미(Meconomy, Me+Economy)라고도 한다..
[시사경제용어] 회색코뿔소 / 초승달벨트 / 워케이션 / 황색포도상구균
·
study/시사상식
회색코뿔소 (Grey Rhino)개연성이 높고 파급력이 크지만 사람들이 간과하는 위험을 가리키는 말. 갑자기 발생하는게 아니라 이미 알려져 있는 위험요인들이 빠르게 나타나 계속적인 경고를 보내지만 일부러 위험 신호를 무시하고 있다가 큰 위험에 빠진다는 의미로, 세계정책연구소 대표이사 미셸 부커가 2013년 1월 다보스포럼에서 처음 발표한 개념이다. 코뿔소는 몸집이 커 멀리 있어도 눈에 잘 띄며 진동만으로도 움직임을 느낄 수 있으나, 정작 코뿔소가 달려오면 두려움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거나 대처법을 알지 못해 부인해 버리는데 비유한 것이다. 이런 면에서 예측과 대비가 어려운 블랙스완과 차이가 있다. 초승달벨트중동의 이란, 이라크, 시리아(시아프 아사드 정권), 레바논의 헤즈볼라 등으로 연결되는 벨트를 ..
[시사경제용어] 탄력세율 / 게이트키핑 / 위그선 / 제로레이팅
·
study/시사상식
탄력세율정부가 법으로 정한 기본세율을 탄력적으로 변경 운영하는 세율조세의 경기조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조세법률주의에서 세율은 입법사항이기에 국회 의결을 거쳐 결정 · 변경하는게 원칙이지만, 국내외 경제 여건이 수시로 변하며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빠르고 크게 작용하는 오늘날에는 이처럼 국민경제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경기조절, 가격안정, 당해 물품의 수급상 필요한 경우 법정세율의 30% 이내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이를 조정할 수 있다. 게이트키핑 (Gate keeping)일반적으로 어떤 메세지가 선택되거나 선택되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언론정보화에서는 기자나 편집자에 의해서 뉴스가 취사선택되는 것을 가리킨다. 게이트키핑은 언론 · 커뮤니케이션 기관이나 기관 종사자가 메시지를 인지한 시점..
[요약정리] 초보자를 위한 주식 / 금융용어정리 3
·
study/노트필기
보수 / 수수료 (펀드비용)앞선 클래스에서 살펴 보았듯 보수나 판매, 환매 수수료 등으로 몇가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수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에 지급하는 보수 비용, 판매하는 회사에 제공하는 보수 비용, 사무관리 회사 보수비용 등의 보수 비용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펀드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특별한 보수비용이 없는 펀드도 있습니다.- 환매수수료펀드의 운용의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해 펀드는 환매수수료 기간을 설정하기도 합니다. 환매수수료 기간보다 빨리 펀드를 환매하면 정해진 환매 수수료를 내야하며 환매수수료는 펀드자금에 편입됩니다.- 판매수수료앞장의 '펀드클래스' 설명에서 나온 펀드판매사들의 선취, 후취 수수료 등의 개념입니다. 선물거래되는 상품, 재화, 서비스 등은 필연적으로 수요와..
[요약정리] 초보자를 위한 주식 / 금융용어정리 2
·
study/노트필기
EPS (주당순이익, Earning Per Share)순이익을 발행 총주식수로 나눈 값(당기순이익÷주식수)으로 주식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주식의 가격을 EPS로 나눈 값(주식가격÷EPS)입니다. 주식 1주당 수익에 비해 주가가 몇배인지를 알아 볼 수 있으며, 주가대비 기업의 수익가치를 따져 볼 때 주로 계산됩니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값으로 자기 자본이익률이라고 부릅니다.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ROE가 10%이면 100억원의 자본을 투자하여 10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 equity1 (한 회사의..
[요약정리] 초보자를 위한 주식 / 금융용어정리 1
·
study/노트필기
주식주식회사는 기업을 설립한 뒤 기업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주식을 발행합니다. 주식회사는 발행한 주식을 증권시장에 유통시켜 기업활동을 영위하는 자본금을 확보하게 되고, 투자 등을 목적으로 주식을 취득한(매수) 개인이나 단체는 주주가 되어 보유한 만큼의 권리와 의무(배당금 및 주주총회 의결권)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의 가치에 따라 주식은 상승하고 하락하며, 주식의 일일변동폭은 2017년 현재 +30%에서 -30%까지 입니다. 매수주식을 사는 행위를 말합니다. 주식을 보유한 비율에 따라 대주주 혹은 최대 주주가 될 수 있습니다. 매도보유한 주식을 파는 행위를 말합니다. 처음 매수한 주식가격보다 높게 팔면 수익이, 낮게 팔면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체결 / 매체결매수나 매도 요청을 한 주문이 완료되..